舊제물포구락부 등 인천문화재단 위탁
  • ▲ 인천시 중구 개항장 일대에는 다양한 근현대 문화유산이 밀집돼 있다. 인천시 개항장 거리 전경 ⓒ 인천시 제공
    ▲ 인천시 중구 개항장 일대에는 다양한 근현대 문화유산이 밀집돼 있다. 인천시 개항장 거리 전경 ⓒ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개항장 일대 흩어진 근현대 문화유산을 하나의 통일된 ‘브랜드’로 엮어내기 위한 작업에 착수한다. 

    15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시 중구 개항장 일대에 있는 구(舊) 제물포구락부와 인천시민애(愛)집, 신흥동 구 인천시장 관사, 자유공원 인근 구 개항장 소금창고 등 4개 시설을 인천문화재단에 맡기는 방안을 추진한다.

    인천 개항장 일대에는 다양한 근현대 문화유산이 밀집돼 있어 한국 근대사의 주요 장면을 담아내고 있다. 이곳은 구도심이라는 특성과 함께 관광·물류 거점이라는 장소적 특성도 지닌다. 이 같은 특성 때문에 도시재생·관광·문화 등 다양한 정책이 교차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들 근대문화유산은 문화유산, 등록문화유산, 건축자산 등 제도적 지위가 다르고 인천시, 기초단체, 민간 등으로 소유자도 제각각이어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에 어려움을 겪었다.

    우선 인천시는 시가 소유하고 있는 이들 문화유산을 묶어 거점화할 수 있도록 인천문화재단에 맡기는 방식으로 운영체계를 정비하기로 했다. 근현대문화유산 간 연결성을 높이고 차별화된 콘텐츠를 운영하며 ‘개항장’이라는 통일된 브랜드를 만들고자 하는 취지다.

    이를 위해 시는 전문 인력과 조직을 갖춘 인천문화재단의 역량을 활용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기존 민간위탁 기관의 운영에 대한 성과를 평가한 결과, 운영 인력의 전문성이 부족하고 이용자 만족도 등이 미흡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문화재단이 이들 시설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별도 팀이 필요하다. 팀장 1명과 일반직 4명, 시설근무 5명 등 10명으로 구성된 1개 팀이 꾸려질 예정이다. 시는 내년 1월1일부터 3년간 운영을 맡길 예정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문화재단이 이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 근대문화유산 체계적 보존·활용을 기대한다”며 “민간위탁과 달리 공익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또 재정·인력 측면으로도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