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명시 산불방지대책본부 관계자들이 인공지능(AI) 산불조기대응 시스템을 살피고 있다. ⓒ광명시 제공
    ▲ 광명시 산불방지대책본부 관계자들이 인공지능(AI) 산불조기대응 시스템을 살피고 있다. ⓒ광명시 제공
    광명시가 수도권 최초로 인공지능(AI) 산불조기대응 시스템을 도입했다.

    시는 한국전력공사와 함께 산불 조기 대응 체계를 고도화했다고 6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9월 한국전력공사 남서울본부와 산불대응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시는 산불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고, 한전은 AI 산불조기대응 플랫폼을 제공하기로 했다. 

    한전 시스템은 열화상 감시카메라로 실시간 촬영한 영상을 AI 복합진단 알고리즘 기술로 분석해 연기나 불꽃 등을 자동 감지하는 방식이다. 위험 징후가 감지되면 즉시 광명시 산불방지대책본부 모니터링실로 상황이 통보돼 산불 초기 단계에서 신속한 진화 인력을 투입할 수 있다.

    현재 360도 회전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총 3대가 도덕산·구름산·가학산·서독산 등 광명시 4대 산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있다.

    특히 풍속과 풍향, 온도와 습도 등 다양한 지표를 종합 분석해 산불 발생 가능성을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어 산불 예방 효과를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한전과의 협력으로 전력인프라가 구축된 송전탑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어 감시망 구축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기후변화로 인해 건조한 날씨와 강풍이 잦아지며 산불 위험이 점점 커지고 있다”라며 “AI를 비롯한 다양한 첨단 기술을 시정 전반에 활용해 기후위기와 재난으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스마트 안전도시 광명’으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오는 12월 15일까지 운영되는 ‘2025년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동안 산불조기대응 시스템을 적극 활용해 산불 예방과 대응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한다. 평일은 물론 주말과 휴일에도 대책본부를 운영해 산불 대응 공백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