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과 폐지되고 인구전략기획과 통합 논란… 외로움국 신설도 이견 분분
-
- ▲ 인천광역시 청사 전경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내년 조직개편을 단행하면서 ‘해양항공국’에서 항공을 뺀 ‘해양항만국’으로 추진하려다 인천시의회와 지역사회 반발로 계획을 철회했다. 그러나 인천시 다문화사회과 등 일부 부서 폐지 및 외로움 국 신설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인천시는 10일 인천시 조례규칙심의위원회를 열고 내년도 조직개편 내용을 담은 ‘인천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심의한다고 9일 밝혔다.앞서 시는 지난 10월13~23일 해당 인천시 조직개편에 대한 조례안을 입법예고했으며 의견을 수렴했다.이 조례안에 따르면 현 ‘해양항공국’을 ‘해양항만국’으로 바꾸고, 현재의 항공과 업무를 미래산업국 산하의 ‘항공산업과(신설)’로 이관하는 내용이 골자다. 이를 통해 시는 항공과 바이오 등 첨단산업 정책과 연계해 시너지를 내겠다는 것이다.그러나 시민단체 등 지역사회에서 항공 기능 약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시는 당초 계획을 철회했다.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는 최근 성명을 통해 “항만·물류와 정책적 연계성이 높은 ‘항공과’를 산업 부서로 이관·분리하는 것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앞서 인천시의회는 해양항공국에서 항공 기능을 빼고 해양항만국으로 전환하면 공항·항만 간 연계정책이 단절돼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특히 복합물류 및 항공정비(MRO) 산업 육성 등 '공항경제권' 추진에도 힘을 잃을 수 있다고 재검토를 시에 요구했다.그러나 인천시 국제협력국내 다문화사회과가 폐지되고 다문화팀으로 축소돼 여성가족국의 인구전략기획과로 옮겨갈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인구 전략과 다문화의 상관성도 없는데다 다문화도시, 국제도시로서의 인천시 위상이 크게 실추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시는 지역사회 의견을 받아들여 항공과를 그대로 두고 명칭 역시 해양항공국을 유지하는 것으로 조례규칙심의위원회에 올릴 예정이다. 다만, 수산과는 당초 계획대로 신설하는 농수산식품국으로 옮기는 방안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이와 함께 명칭이 ‘모호하다’는 의견이 나온 ‘외로움국’은 일단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일각에서는 ‘국’ 명칭은 해당 부서가 어떤 역할을 맡는지 직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외로움국’은 시민들을 위해 무엇을 하는 곳인지 한 눈에 알아보기가 쉽지 않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인천시 관계자는 “지역사회에서 반대 의견이 나와 항공과 이전은 없었던 것으로 결정했다”며 “아직 조례규칙심의위원회 등 절차가 남아 있어 확정한 것은 아니다”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