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정부 제시 기준에 따른 '객관적 평가'해야 목소리 높여
  • ▲ 유정복(가운데) 인천시장이 지난해 6월 남동체육관에서 열린 ‘인천광역시 주민자치 한마음대회’에서 참석자들과 2025 APEC 정상회의 유치결의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 유정복(가운데) 인천시장이 지난해 6월 남동체육관에서 열린 ‘인천광역시 주민자치 한마음대회’에서 참석자들과 2025 APEC 정상회의 유치결의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20년 만에 한국에서 열리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 유치 경쟁이 과열되면서 인천 각계에서 '객관적 평가'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박주봉 인천상공회의소 회장은 17일 APEC 정상회의 관련 언론 기고문을 통해 성공적인 행사 개최에 필수적인 회의시설과 숙박시설, 경호, 보안 등 '공개된 기준'에 따라 정부가 후보 도시들을 엄정하게 평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 회장은 "우리는 지난해 여름 준비되지 않은 새만금 잼버리를 경험했다. 나라 망신이라는 한탄이 터져 나왔고 국민들의 자존심이 무너졌다"며 이런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APEC 개최도시 선정에 신중을 기할 것을 주문했다.

    앞서 황효진 인천시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은 지난 11일 APEC 정상회의 관련 토론회에서 "APEC 정상회의 선정 기준만 보면 인천 유치가 당연하지만, 인천은 (정치논리로 짜여진) '프레임 전쟁' 속에서 고전하고 있다"며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는 공개된 기준에 따라 선정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도 개최도시의 당위성과 적정성에 가장 큰 비중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APEC 정상회의는 글로벌 무역·경제와 관련된 현안 해결을 위해 정상들이 머리를 맞대는 자리인 만큼 회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조건을 완벽하게 갖춘 도시에서 개최하는 것이 기본"이라고 주장했다. 

    김 사무처장은 "정부가 정치논리에 휘둘려 잘못된 결정을 내리는 행태를 되풀이하면 안 된다"며 "APEC 정상회의는 국가적 신뢰와 이익이 걸린 중대 행사인 만큼 개최도시 결정에서도 기준과 평가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APEC 정상회의는 아태지역 21개국 정상과 각료 등 6000여 명이 모이는 연례회의로, 정상회의·관료회의·기업회의 등으로 구성된다. 2005년 부산 개최 이후 20년 만에 내년 11월 국내에서 열린다.

    내년 APEC 정상회의 개최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2조 원을 웃돌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외교부는 지난달 20∼22일 인천·경주·제주 등 APEC 정상회의 개최 후보지 3곳을 대상으로 현장 실사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