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천 신항 항만배후단지 위치도ⓒ해양수산부 제공
    ▲ 인천 신항 항만배후단지 위치도ⓒ해양수산부 제공
    민간업체들이 주도하던 인천 신항 배후단지 개발을 공공기관이 직접 맡는 방안이 본격 추진된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신항 항만배후단지 2-1단계 구역(157만㎡)을 대상으로 공공개발을 위한 사전 타당성 검토 용역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인천해수청은 10억 원을 들여 1년간 용역을 진행하면서 구체적인 공공개발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인천해수청은 용역 결과를 토대로 내년 중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하고, 인천항만공사(IPA)와 함께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해당 구역은 1종 항만배후단지로 화물 보관·배송과 조립·가공 등 물류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산업시설이 주로 입주하게 된다.

    현재 인천 신항에서 발생하는 준설토로 부지를 조성하고 있으며 향후 연수구로 편입될 예정이다.

    사업비로는 3393억 원을 책정했으며, 추가 논의를 거쳐 사업 추진 방식이나 기관별 사업 분담 비율 등을 결정한다.

    앞서 해양수산부는 인천지역 시민단체와 항만업계 등의 의견을 반영해 새로 개발할 신항 배후단지를 공공개발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인천해수청 관계자는" 항만배후단지를 공공기관이 개발하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물류 부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