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은 광역지방정부 대표, 하원은 선거로 구성… 지방분권 강화
  • ▲ 유정복 인천시장 지난 12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지방분권형 개헌 필요성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 인천시 제공
    ▲ 유정복 인천시장 지난 12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지방분권형 개헌 필요성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 인천시 제공
    전국 광역자치단체장들로 구성된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가 중앙정부에 집중된 권력구조를 개선하고 지방분권과 지방자치를 강화하는 헌법 개정안을 내놨다.

    전국시도지사협의회장인 유정복 인천시장은 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 4년 중임제와 양원제 도입을 골자로 하는 헌법 개정안을 공표했다.

    개정안은 '승자 독식'의 선거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국회를 상원과 하원으로 나눴다.

    상원은 광역지방정부 대표로 하고, 하원은 현행 선거 방식으로 의원을 선출하되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하도록 했다.

    또 정·부통령제를 도입해 대통령 궐위 시 선거로 뽑힌 부통령이 대통령 직을 승계해 국정 혼란을 최소화하도록 했고, 임기 4년의 대통령은 한 번 중임할 수 있게 했다.

    지방정부가 실질적인 자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자치입법권'을 명문화했으며, 지방정부도 여건에 따라 지방세 종목과 세율을 추가할 수 있도록 '지방세 신설권'을 부여했다.

    이와 함께 주택·교육·환경·지역계획 등의 분야에서 필요하면 획일적으로 규율하는 법률과 다른 내용으로 자치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자치계획권'도 신설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상호 대등한 관계에서 국가의 주요 정책을 협의할 수 있도록 국무회의와 함께 중앙지방협력회의 조항도 담았다.

    중앙지방협력회의의 의장은 대통령으로 하고, 부통령과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이 공동 부의장을 맡게 했다.

    특히 대한민국 수도에 관한 규정을 명문화해 앞으로 수도 이전에 대한 논의의 토대도 마련했다.

    논란이 된 현행 헌법 제84조 대통령 형사상 불소추 특권의 범위에 관해서는 재임 중 발생한 형사사건에 한해 소추할 수 없다고 명확히 규정해 재임 이전에 발생한 형사사건은 대통령 당선으로 재판 등이 중지되지 않도록 명시했다.

    개정되는 헌법으로 실시하는 최초의 대통령선거는 헌법 시행일로부터 100일 이내에 실시하고, 개정된 헌법에 의해 처음 당선된 대통령의 임기는 2028년 5월 말까지로 정해 앞으로 대통령과 국회의원 동시 선거가 이뤄지도록 부칙 규정에 담았다.

    유 시장은 "지방 4대 협의체가 뜻을 모아 정치 안정과 국민 대통합을 이루기 위한 개헌안을 마련했다"면서  "지금이 헌법을 개정할 적기인 만큼 300명 국회의원이 헌법 개정에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촉구했다.

    협의회는 오는 7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대한민국헌정회·한국헌법학회·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지방분권전국회의와 공동으로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 국회 대토론회'를 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