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정복(가운데) 인천시장이 지난헤 10월12일 연수구 해돋이공원에서 열린 ‘저출산 극복을 위한 2024 유아차 걷기 대회’에서 참가 가족들과 출발을 하고 있다. ⓒ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저출생 극복을 위해 아동돌봄 정책에 적극 나선다. 시는 다양한 돌봄 공백을 촘촘히 메우는 체감형 정책으로 4개 분야 사업, 31개 세부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17일 아동돌봄협의회를 열고 아동돌봄 공백 해소를 목표로 하는 올해 시행계획과 세부 과제들을 점검했다.
중점 4개 분야 중 '온마을 돌봄' 분야는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해 마을 전체가 아이를 함께 돌보는 사업이다.
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인천지역본부와 협력해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 내에 돌봄공간을 확보하고, 유휴공간을 발굴해 돌봄 인프라를 조성할 예정이다. 올해 51곳, 내년 67곳을 확충할 방침이다.
'온종일 돌봄' 분야에서는 돌봄기관의 운영시간을 이른 아침부터 늦은 저녁, 토요일까지 연장해 촘촘한 틈새돌봄을 제공한다.
갑작스러운 질병을 비롯한 긴급상황에서도 돌봄이 가능하도록 신규 설치되는 다함께돌봄센터에는 아픈 아이를 위한 휴식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돌봄기관 이용 아동이 학교에서 기관, 집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심이동 서비스도 확대하기로 했다.
'온전한 돌봄'은 돌봄기관 실내 환경을 친환경 제품으로 개선하고 우수프로그램 공모·공유, 찾아가는 과학프로그램 지원 등을 추진한다.
'온기 있는 돌봄'은 방학 중 다함께돌봄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에게 점심을 무상 지원해 맞벌이 가정의 돌봄 공백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급식 단가(9500원)에 맞춰 음식을 제공하는 '아이 온밥 식당'도 발굴해 아동에게 양질의 식사를 제공할 계획이다.
협의회는 하병필 행정부시장이 위원장을 맡고 시의원, 시교육청 관계자, 학부모, 민간 전문가 등 15명으로 구성됐다.
하 부시장은 "돌봄이 필요한 아동이 언제나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틈새돌봄망을 촘촘히 구축해 보호자의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게 돕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