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 비행 불허, 3D 지도 구축사업 대체지역 검토
-
- ▲ 위성 기반 백령도 지도ⓒ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드론을 활용해 서해5도 3D 행정지도를 구축하는 사업이 군 당국의 불허로 무산됐다.인천시는 백령도·대청도·소청도·대연평도·소연평도 등 서해5도 전역의 3D 행정지도를 제작하기 위해 지난 7월과 8월 중순 두 차례 합동참모본부에 드론 비행 승인을 요청했으나 허가받지 못했다고 29일 밝혔다.북한과 인접한 서해5도는 드론이나 초경량 비행장치를 띄우려면 군 당국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합참은 해당 지역이 탐색·구조 등 재해·재난 업무와 군 필수 임무 목적에만 비행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승인을 내주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현재 인천 도심은 항공기를 활용해 실제와 유사한 수준의 3D 행정지도가 구축돼 있다. 그러나 서해5도를 비롯해 인천국제공항 등 비행금지구역은 위성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돼 정확도가 떨어진다.해당 지도는 행정 업무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현장에 가지 않고도 공간정보를 확인하는 데 활용된다.이에 인천시는 서해5도 일대의 고해상도 3D 지도를 만들기 위해 지난 3월 '국토교통부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 공모에 참여해 선정됐다.당시 인천시는 'k-드론 배송 서비스'와 '첨단 행정 서비스' 2개 분야에서 뽑혀 국비 5억3000만 원을 확보했고, 이 중 1억8500만 원을 서해5도 지도 제작에 투입할 계획이었다.그러나 군 당국의 드론 비행 불허로 사업이 좌초하면서 인천시는 대체지역을 찾고 있다.인천시 관계자는 "국토부 산하 항공안전기술원으로부터 '다른 지역으로 변경해 사업을 추진해도 괜찮다'는 답변을 구두로 받아 국비를 반납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이번 사업과 별개로 인천 내 드론 기반 지도 제작이 추진 중으로, 적합한 곳을 선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