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천시의회 행정안전위원회가 1일 행안위 회의실에서 제303회 인천시의회 임시회 제1차 회의를 열고 ‘인천시 서구 명칭 변경에 대한 의경청취’를 하고 있다. ⓒ 인천시의회 제공
인천 서구가 내년 7월1일 행정체제 개편에 따라 검단구로 분리하는 서구의 새 이름을 여론조사를 통해 ‘서해구’로 정한 것에 대해 졸속 논란이 일고 있다.
1일 인천시의회와 인천 서구에 따르면 서구는 최근 행정체제개편 뒤 검단구와 분리하는 서구 거주 18세 이상 주민 43만여명을 대상으로 ‘서해구’와 ‘청라구’에 대한 구 명칭 선호도 여론조사를 했다.
조사 결과 서구는 58.45%의 지지를 얻은 ‘서해구’를 서구의 새 이름으로 최종 확정했다. ‘청라구’는 41.6%의 지지를 얻는데 그쳤다.
인천시의회는 10년간 별다른 논의 없이 지지부진하다가 갑작스럽게 이뤄진 점 등을 들어 서해구 명칭이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특히 서해5도 섬 지역을 관할하는 옹진군이 있음에도 서구가 ‘서해구’를 사용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재동 시의회 행정안전위원장은 이날 열린 제303회 임시회 ‘인천시 서구 명칭 변경에 대한 의경청취’에서 “이번 서해구 명칭 결정은 주민 공감대와 준비 부족으로 졸속 추진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지난 2015년 인천시장과 서구청장이 자치구 명칭 변경에 대한 공동선언을 했음에도, 10년 가까이 논의가 없다가 갑자기 명칭을 변경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10여년이라는 시간 동안 주민들에게 동의를 구하고, 의견을 조율했다면 지금처럼 ‘서해구’라는 졸속의 구 명칭이 나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신영희(옹진군) 시의원은 “옹진군에 속한 서해5도는 서해의 최전방이자 국가 안보의 거점으로, 오랜 세월 주민의 생존권과 공동체를 지켜온 삶의 현장이자 역사 그 자체”라고 말했다. 그는 “‘서해’라는 이름은 옹진군만 아니라 서해5도 주민들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의미한다”며 “서구가 새 명칭으로 서해구를 사용한다면 옹진군이 오랫동안 지켜온 서해라는 정체성과 가치가 희석되고, 불필요한 갈등도 생길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이미 여론조사를 통해 새로운 명칭이 정해진 만큼, 되돌리는 것은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명주(인천시 서구) 시의원은 “지금까지의 절차를 이어 오면서 우려했던 부분들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며 “그러나 지금 이 우려들을 지적하고 개선을 요구하기는 때가 늦었다는 생각이다. 어떤 결정이 시와 서구에 더 도움이 될 지 현명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