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도시공사·인천시·서구 비용부담 놓고 마찰
  • ▲ 인천 미추홀구에 설치된 스마트승강장 ⓒ인천시 제공
    ▲ 인천 미추홀구에 설치된 스마트승강장 ⓒ인천시 제공
    인천시 검단지구에 조성되는 스마트 버스쉘터(스마트승강장)의 운영·관리 주체를 놓고 관련 기관들간 이견을 보여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

    27일 인천시와 인천 서구에 따르면 인천도시공사와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지난 6월 개통한 인천도시철도 1호선 검단연장선 아라역·신검단중앙역·검단호수공원역 주변에 총 8개의 스마트승강장을 설치하기로 했다.

    그러나 인천도시공사는 인천시와 서구에 설치에 따른 관리를 요청했지만, 이들 기관은 관리비용 부담을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스마트승강장은 버스를 기다리는 탑승객이 더위나 추위를 피할 수 있도록 부스(Booth) 형태로 설계된 정류장이다. 버스 도착 시간을 안내하는 전광판 외에도 공기정화시스템, 냉난방기, 온열의자 등이 갖춰져 있어 시민 호응이 높은 공공시설이다.

    현재 인천에는 인천시 서구 석남·가좌동, 미추홀구 도화동, 연수구 송도동 등에 스마트승강장 20개가 설치돼 있는데 관리 주체는 제각각이다. 국토교통부 공모 사업을 통해 설치된 석남·가좌동 스마트승강장은 인천 서구가, 미추홀구 시설은 인천시가, 송도동 승강장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각각 운영하고 있다.

    일반버스 승강장은 인천시와 각 군·구가 비용을 50%씩 분담해 설치한 뒤, 인천교통공사가 위탁 관리하지만 스마트승강장의 설치·관리 역할은 인천시와 일선 기초단체의 분담이 이뤄지지 않았다.

    더욱이 검단지역 주민들이 조속한 설치를 요청하고 있지만 관련당국간 불협화음으로 사업이 미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서구 관계자는 “역할 분담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구가 관리를 하게 되면 앞으로 설치될 예정인 모든 스마트승강장에 대한 비용 부담까지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특히 검단지구는 내년 7월1일 행정체제 개편을 통해 검단구로 분리 신설되는데 현재 시점에서 나설 이유가 없다”고 했다.

    인천시는 민선 8기 공약사업으로 자체적으로 스마트승강장 설치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설치 계획 대비 실제 설치 비율이 20%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 관계자는 “스마트승강장은 통신 관련 장비가 많이 포함된 만큼 인건비나 장비 관련 비용이 많이 드는데, 관련 예산도 올해 15억원에서 내년 10억원으로 삭감 편성돼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