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복지 연속성 확보 및 현장 기반 맞춤지원 핵심 추진전략 설정
  • ▲ ‘평택시 의료·요양·돌봄 연계 강화 추진회의’장면ⓒ평택시 제공
    ▲ ‘평택시 의료·요양·돌봄 연계 강화 추진회의’장면ⓒ평택시 제공
    평택시는 오는 2026년 3월27일 시행 예정인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돌봄통합지원법)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초고령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의료와 돌봄서비스를 통합하는 지원체계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평택시는 24일 통합방위종합상황실에서 시 복지국장과 보건소장, 국민건강보험공단 평택지사장, 관련 부서장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평택시 의료·요양·돌봄 연계 강화 추진회의’를 개최하고 통합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로드맵을 최종적으로 확정했다.

    현재 평택시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전체 인구의 14.5%인 8만8005명에 달하며, 이 중 약 35%가 돌봄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돌봄 사각지대에 놓인 관리 대상자들에게 개개인의 욕구에 기반한 맞춤형 돌봄체계를 제공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부상했다.

    평택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료-복지 연속성 확보 및 현장 기반 맞춤지원을 핵심 추진전략으로 설정하고 부서 간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목표는 대상자 욕구에 부합하는 의료, 요양, 생활 지원 서비스를 중복·누락 없이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김대환 평택시 복지국장은 “이번 통합돌봄체계 구축은 시설이 아닌 자신이 살던 집과 지역사회에서 건강하게 생활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함”이라며 “분절된 자원을 통합하고 원스톱 돌봄 연계 플랫폼을 구축해 돌봄 사각지대 없는 평택시를 실현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