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협력으로 맞춤형 교육·정착 지원 강화
-
- ▲ 정명근 시장이 송민수 기아오토랜드 공장장과 조미진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사무총장과 함께 협약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화성시 제공
화성특례시는 27일 시청에서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기아주식회사와 ‘다문화아동 지원 및 지역사회 민·관 상생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협약은 유엔 아동권리협약에 기반해 다문화아동의 권리를 증진하고 교육·복지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민·관이 협력해 ‘다문화아동 맞춤형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하는 데 의미가 있다.협약식에는 정명근 화성시장, 송민수 기아 화성공장장, 조미진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이 참석해 관내 다문화아동 지원을 위한 상생협력을 다짐했다.협약에 따라 세 기관은 다문화아동이 안정적으로 공교육에 진입하고 지역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맞춤형 한국어교육과 한국역사·문화교육을 제공하는 데 협력한다.관내 이주배경청소년 지원 전담기관인 화성시글로벌청소년센터(지구별화성)가 다문화아동 및 미등록 이주아동 발굴, 프로그램 운영 등을 맡고, 기아와 유니세프 한국위원회는 사업비 및 운영을 지원한다.앞서 화성시는 증가하는 이주민 및 이주배경아동·청소년 지원 수요에 대응해 2024년 11월 도내 세 번째 글로벌청소년센터를 설치하고, 언어·문화적 차이로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이주배경아동·청소년에게 한국어교육, 한국사회이해교육,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공해 지역사회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정명근 화성시장은 “아동친화도시 화성특례시에서는 국적이나 출생 등록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아동이 보호 받을 권리가 있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다문화아동들이 더욱 안정적이고 평등한 환경에서 교육을 받고 잠재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