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남부 거점도시로 도약, 2도심 4부도심 체계로 도시 기능 효율적 배분
  • ▲ 2040년 화성시 도시기본 구상도ⓒ화성시 제공
    ▲ 2040년 화성시 도시기본 구상도ⓒ화성시 제공
    화성특례시의 ‘2040 화성 도시기본계획’이 경기도로부터 최종 승인됐다.

    이번 도시기본계획은 ‘첨단산업과 문화가 만나는 지속 가능한 글로벌 도시, 화성’을 미래 비전으로 제시하고 2040년까지의 도시 발전 방향을 담았다.

    화성시는 계획 수립 과정에서 시민 의견을 폭넓게 반영하고자 ‘100인의 희망도시시민참여단’을 운영해 도시 미래상과 실천전략을 정리했다. 여기에 시민 설문조사와 전문가 자문을 병행해 다양한 계층의 의견을 고르게 수렴했다.

    생활권 구상은 기존 동·서 2개 권역에서 구청 출범에 맞춰 동탄·동부·중부·서부 등 4개 권역으로 확대됐다. 권역별 발전 방향은 △4차 산업을 선도하는 산업경제도시 △사람 중심의 성장도시 △교육 중심의 자연친화 정주도시 △융복합 혁신도시 등으로 특화했다.

    2040년 계획인구는 통계청 추계와 각종 개발사업을 반영해 154만 명으로 설정됐다. 토지이용계획은 향후 도시 성장에 대비해 46.852㎢를 시가화예정용지로, 기존 개발지 102.193㎢를 시가화용지로, 977.276㎢를 보전용지로 확정했다.

    부문별 계획에는 국가철도망과 도로계획을 반영한 교통 인프라 확충, 환승시설 강화에 따른 대중교통 활성화, 자전거도로망 확대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또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도시 추진, 생활권 녹지 확충을 위한 공원·녹지전략 등 화성시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정책 방향이 제시됐다.

    이번에 승인된 2040년 화성도시기본계획은 공고 후 30일간 시청 홈페이지와 도시정책관에서 열람할 수 있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2040년 화성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으로 화성시가 특례시를 넘어 경기남부의 핵심 거점도시로 도약하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