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국민신문고 통해 세 번째 민원에도 무산
  • ▲ 한전 KPS 전경 ⓒ 한전 KPS 제공
    ▲ 한전 KPS 전경 ⓒ 한전 KPS 제공
    한전KPS노동조합은 최근 산업자원부 산하 에너지 공공기관장이 줄줄이 임명되는 와중에 한전KPS 사장만 임명에서 제외되자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한전KPS노조는  지난 9일 국민신문고를 통해 한덕수 대통령권한대행에게 조속한 신임 사장 임명을 촉구했으나 무산됐다. 이는 노조가 올해 들어 지난 1월2일과 2월10일에 이어 전체 직원들의 의견을 반영한 세 번째  민원이었다. 

    노조는 국민신문고에서 "현 김홍연 사장은 임기가 지난해 6월24일까지로 이미 임기가 10개월 초과되었으며, 능동적인 경영를을 기대하기는 힘들다"면서 "이 같은 상황에서 안전사고가 과거 평균 2배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인천 한전KPS 영흥사업소 직원이 발전소 내부 작업 중 감전사고를 당했다. 

    특히 노조는 6700여 직원의 승진과 인사 발령이 이뤄지지 않아 국내와 해외에서 운영 중인 발전소들의 안전관리 부실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대부분의 한전KPS 직원들은 "신임 사장 임명 지연으로 인한 의사결정 부재로 국책과제인 정부의 체코 원전 수출 정책과 세계 원자력시장에서의 SMR(소형모듈원전), 제염 해체 선점 지연, 해외 원전 연관사업 등에서 차질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CEO 진두지휘로 시너지를 극대화할 시기에 전력의 안정적 공급이 소홀히 되지 않을까 걱정이 높다"면서 "사장 임명 지연으로 연말연시 인사, 조직, 인력, 자원의 재배분 등 행정 마비로 인한 문제는 고스란히 국민들께 피해로 돌아가지 않을까 심히 우려"했다. 

    에너지업계 안팎에서는 "동일한 정부에서 내정됐지만 특정 기관 사장은 임명에서 제외하고,  이미 한전KPS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거쳐서 선임이 끝난 신임 사장의 제청을  미루면서 지난해 6월에 임기가 끝난 사장을 10개월이나 자리를 지켜주는 것은 보이지 않은 손이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