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4일 인천시교육청앞에서 인천 특수교사 사망 진상규명 투쟁 결의대회가 열렸다. ⓒ 인천 특수교사 진상규명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 제공
    ▲ 지난 24일 인천시교육청앞에서 인천 특수교사 사망 진상규명 투쟁 결의대회가 열렸다. ⓒ 인천 특수교사 진상규명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 제공
    이상돈 인천시부교육감은 28일 인천 특수교사가 사망한 지 6개월이 지나도록 진상 규명이 이뤄지지 않은 데 대해 유족 측에 사과하고 철저한 조사를 약속했다.

    이 부교육감은 이날 인천시교육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진상조사가 늦어져 유족분들께 양해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다시는 특수교사 사망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투명하고 공정한 진상조사를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진상조사 지연 사유에 대해 "조사 범위가 확대됐고 면담 대상자도 당초 예상보다 2배 이상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이 부교육감은 "조사는 현재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진상조사단이 결과보고서를 제출하면 이르면 다음 달 진상조사위원회가 보고서 채택과 공개 여부를 심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인천시교육청은 진상 조사가 마무리되면 사망한 특수교사의 순직 인정을 위한 신청을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인천 특수교사 사망 진상규명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3일 투쟁 결의대회를 열고 진상조사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진상조사위원회 관계자는 "시교육청이 브리핑을 하면서 진상조사위원회와 일정을 협의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진행했다" 고 주장했다. 

    인천 모 초등학교 특수교사 A씨는 정원을 초과한 특수학급을 맡아 격무에 시달리다가 지난해 10월 24일 숨졌다.

    A씨는 중증 장애 학생 4명을 포함한 특수교육 대상 학생 8명으로 구성된 학급을 맡으면서 매주 29교시의 수업을 했던 것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