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천 송도국제도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 투입구 ⓒ연합뉴스 제공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설치된 대규모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을 단계적으로 폐쇄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6억7000여만원을 들여 '자동집하시설 단계적 폐쇄 기술진단 용역'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27일 밝혔다.
자동집하시설은 주민들이 각 아파트단지나 상가 투입구를 통해 버린 폐기물을 땅속에 묻힌 관로를 따라 집하장으로 모으는 장치로, 2000년대 국내 신도시를 중심으로 도입됐다.
송도국제도시에서는 2005년부터 자동집하시설이 운영됐으나 20∼30년인 사용 가능 연한(내구연한)이 도래하면서 잦은 고장, 과도한 운영비, 악취 민원 등 각종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2005년 송도 2공구와 2008년 4공구에 각각 설치된 자동집하시설에서는 이미 관로 부식을 비롯한 각종 시설 문제가 잇따르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이번 용역을 거쳐 송도 2·4공구 내 자동집하시설을 폐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인천경제자유구역에 설치된 전체 시설의 운영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에 포함된 영종국제도시의 자동집하시설은 10년 넘게 활용되지 못한 채 방치됐다. 내년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주도로 보수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송도에서 자동집하시설이 폐쇄될 경우 도시 계획 단계 때부터 강조된 '쓰레기차 없는 도시'라는 홍보 문구는 더는 사용할 수 없게 될 전망이다.
자동집하시설 운영이 중단되면 송도도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운반 차량이 지역을 돌면서 폐기물을 수거하는 '문전수거'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자동집하시설을 꼭 폐쇄해야 한다고 아직 결정을 내리지는 않은 단계"라며 "기술적인 부분을 검토해서 향후 시설의 방향성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