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등 국책과제 차질 우려
  • ▲ 한전KPS 직원들이 발전소 송전 설비의 정비 업무를 하고 있다. ⓒ 한전KPS 제공
    ▲ 한전KPS 직원들이 발전소 송전 설비의 정비 업무를 하고 있다. ⓒ 한전KPS 제공
    체코 신규 원전 수주 사업이 본계약 하루 전 암초(체코 지방법원 가처분)를 만나 무기한 중단된 데 대해 논란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산자부 산하 에너지 핵심 공기업인 한전 KPS 노동조합이  또 다시 신규 사장 임명을 강력 촉구하고 나섰다. 

    한전 KPS 노동조합은 11일 이주호 대통령 권한 대행(부총리) 앞으로 국민신문고에 "신임 한전KPS 사장의 조속한 임명을 강력 촉구한다"는 호소문을 올렸다. 이 호소문은  지난 1월 2일과 2월 10일, 4월9일에 이어 한전 KPS 노조가 정부부처 국민신문고에 올린 네번째 민원이다. 

    노조는 호소문에서  "전력의 안정적 공급은 국민들의 안정적인 일상을 보장하고 산업의 핵심 동력으로 그 어떠한 가치보다 중요하다" 면서 "특히 26조원 규모의 체코 두코바니 원전 계약이 체고 지방법원의 제동으로 보류되는 사태 등에서 보았듯이  정부의 원전수출 정책과 전력의 안정적 공급이라는 측면에서 회사의 역할과 사명이 소홀히 되지 않을까 크게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한전KPS는 원자력, 화력발전소 및 송전설비의 정비 업무를 전담하고 있는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이자 전력사업의 핵심 공기업"이라며 " 지난해 12월 제청된 신임 사장  임명이 5개월이상 지연되는 등 회사 리더십 부재 상태가 지속된다면 이는 회복하기 어려운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 현 김홍연 사장은 임기가 작년 6월 24일까지로 이미 임기가 10개월 이상  초과 되었으며, 능동적인 경영자세를 기대하기 에는 불가능한 환경"이라며 " 신임 사장 임명 지연으로 글로벌 전력 시장에서의 경쟁력 약화가 지속되고 해외 신규 프로젝트의 사업 수주를 공격적으로 할 수가 없어 매출 부진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사장 임명 지연으로 6개월이나 보류된 인사, 조직, 인력, 자원의 재배분 등 행정 마비로 인한 문제는 고스란히 국민들께 피해로 돌아가지 않을까 심히 우려되는 바 조속한 신임 사장의 임명을 강력 촉구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와 관련, 한전 KPS 안팎에서는  "이미 작년 6월에 임기가 끝난 현 김홍연 사장의 자리를 산업부가 계속 지켜주면서 고의적으로 한전KPS의 신임 내정자의 제청을 6월3일 대선이후로 넘길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냐 "는 말들이 나오고 있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이는 산자부의 직무유기에 해당되며 산자부가 한쪽에만 치우친 선택적 제청을 했다면 이는 예전 정부의 블랙리스트 사건을 연상하게 한다"면서 "국민의 삶과 산업의 핵심적 동력 확보를 위해 신규 사장 내정자를 조속히 임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